본문 바로가기

혀는 구강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구강에 관하여 by 오냥초 2023. 5. 25.
반응형

혀의 역할

혀의 역할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 외에 입술, 볼, 입천장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도 파헤쳐봅시다. 혀는 우선 크게 감각수용기로서의 작용, 운동기관으로서의 작용, 발음기관으로서의 작용을 합니다. 아래에서 차근차근 살펴봅시다.

 

혀

1. 감각수용기로서의 작용

혀는 손가락끝과 함께 체내에서 가장 예민하고 독특한 감각수용기입니다. 혀에는 미각수용기도 존재하는데 혀의 미각에 의해 음식의 맛을 알 수 있고, 불쾌한 맛을 가진 부패물이나 독극물 등을 판별하여 삼키지 않도록 합니다. 촉각, 압각 등의 감각에 의해 구강내 음식물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씹기 쉽도록 음식물을 치아 위에 올려놓거나 삼키기 쉽도록 운반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혀의 감각을 이용해 물체의 성질을 알 수 있거나 음식물에 섞인 작은 이물질 등을 찾아내는 데에도 용이하게 사용됩니다. 미각이나 기타 혀의 감각자극에 의해 타액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구강 내에 여러 도움을 줍니다.

 

2. 운동기관으로서의 작용

혀는 음식물을 구강내에서 이동시키고 치아의 씹는 면에 올려놓아 잘게 부수는 것을 돕습니다. 또한 음식물을 타액과 혼합하여 식괴로 만들고 식괴를 인두부로 이송하여 삼킬 수 있게 합니다.

 

3. 발음기관으로서의 작용

구강내에서 혀끝이나 설근의 위치와 혀의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자음과 모음을 수월하게 발음할 수 있게 합니다.

 

설근과 혀의 운동

설근은 혀 이외의 부위에서 시작해 혀에서 끝나는 외설근과 혀에서 시작해 혀에서 끝나는 내설근으로 나뉩니다. 외설근은 혀의 위치와 형태를 변화시키고 내설근은 혀의 형태만 변화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설근은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고 신속히 수축하지만 수축을 계속하면 쉽게 피로를 느낍니다. 외설근에는 이설근, 설골설근, 경돌설근, 구개설근이 포함됩니다. 이설근은 혀를 내밀거나 중앙부를 아래로 당기고 설골설근은 혀를 후퇴시키고 혀 간장자리를 아래로 당깁니다. 경돌설근은 혀를 후퇴시키고 설배를 높이며 구개설근은 목구멍을 좁히고, 연구개를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내설근에는 상종설근, 횡설근, 수직설근, 하종설근이 있습니다. 상종설근은 혀를 단축시키고 혀끝을 올립니다. 횡설근은 혀의 폭을 좁혀 혀를 뾰족해지게 하고 수직설근은 혀의 폭을 넓혀서 편평하게합니다. 하종설근은 혀를 단축시키고 혀끝을 내립니다. 이처럼 설근은 여러 작용을 하여 혀를 움직입니다.

 

입술, 볼, 입천장의 역할

1. 입술

입술의 운동은 입술 또는 그 주변의 근육들의 근수축에 의해 일어납니다. 입을 다물어서 음식물이 구강외로 나가는 것을 막고 음식물을 상하 입술로 물고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입을 다물어서 무언가를 빨아먹을 때 구강내가 음압이 되도록 돕고 민감한 입술감각으로 물체의 성질을 알 수도 있습니다. 입술은 발음을 하는데에도 영향을 미치고 전치부의 치열이 형성되고 유지되는데에도 기여합니다.

 

2. 볼

볼은 피부와 점막 사이에 근육과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강의 외벽을 형성합니다. 볼은 주로 협근의 활동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며, 협근은 협벽을 지지하면서 볼을 치열로 받치고 있습니다. 협근의 감각은 혀끝이나 입술과는 달리 둔합니다. 특히 아래턱 두번째 큰 어금니 근방에 있는 키쏘 영역은 통각에 둔합니다. 협근의 운동은 제7번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으면서 키쏘영역에서는 촉점이 있으나 통점이 적어 통각이 비교적 둔하게 나타납니다. 그래서 저작 중에 혀를 깨물면 아프지만 협점막은 깨물게 돼도 크게 아픔을 느끼지 않습니다. 볼은 저작 중에 혀와 함께 음식물을 어금니의 씹는 면에 올려놓고 혀의 압에 대항해 어금니 치열을 형성하고 그 보존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입김을 강하게 불 때도 작용하며 동물 중 일부는 볼에 일시적으로 음식물을 저장하기도 합니다. 

 

3. 입천장

입천장은 구강과 비강의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뼈에 의해 지지되는 앞쪽의 경구개와 뼈가 지지하지 않는 뒤쪽의 연구개로 나뉘어집니다. 연구개는 여러 근들로 하여금 연구개의 거상이나 긴장, 구강과 인두의 경계를 좁히거나 닫기도 합니다. 이 근들은 상악신경 중 삼치신경의 일부분인 구개신경에 의해 지배됩니다. 연구개는 음식물을 삼킬 때 비인두강이라는 구강과 비강의 경계에 있는 원형공간을 닫아서 음식물이 비강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합니다. 발음할 때에 비인두강 직경을 변화시켜 발음을 조절하고 미각수용기로 음식물이나 액체의 맛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한편 경구개에는 촉각과 압각의 수용기가 있어 음식물의 성질을 판별하고 하악반사를 일으켜 하악운동의 조절에 관여합니다. 더하여, 혀와 함께 연한 음식물을 으깨고 식괴를 형성하며 발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댓글